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스키 ~이치…선수 등을 보면 끼리끼리가 보인다

[김창엽의 과학으로 보는 문화] 월드컵을 보는 또다른 재미

2018.06.18 김창엽 자유기고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러시아 월드컵 축구대회의 막이 올랐다. 다음 달 15일까지 펼쳐지는 지구촌 대축제가 마침내 시작된 것이다. 그렇잖아도 6~7월은 유난히 큰 국제 스포츠 이벤트가 많은 달이다. 15일 개막한 골프 US오픈이 그렇고, 7월 2일부터 치러지는 테니스 윔블던 대회가 대표격이다.

4년마다 돌아오는 월드컵은 축구팬은 물론 일반 시민들도 큰 관심을 쏟는 스포츠 대회이다. 윔블던이나 US 오픈도 국경을 뛰어 넘어 많은 남녀노소가 현장에서 혹은 TV 중계 등을 통해 지켜보는 운동 경기들 인만큼 이들 스포츠 이벤트는 가히 ‘인류학적’ 현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순한 하나의 운동이 아니라, 현대 호모 사피엔스 특유의 문화현상이요, 사회현상인 것이다.

월드컵 출전 선수들의 유니폼 뒤에 쓰여진 퍼스트 네임은 '아'(영어 a)로 끝나는 경우를 찾기가 극단적으로 어렵다는 공통점이 있다. a는 여성 이름의 끝에만 거의 독점적으로 붙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t사진=카이오 레센데)
월드컵 출전 선수들의 유니폼 뒤에 쓰여진 퍼스트 네임은 ‘아’(영어 a)로 끝나는 경우를 찾기가 극단적으로 어렵다는 공통점이 있다. a는 여성 이름의 끝에만 거의 독점적으로 붙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t사진=카이오 레센데)

당연하게도, 월드컵이나 윔블던, US오픈에는 인류를 특징 짓는 수많은 요소들이 녹아 있다.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그런 요소들은 많을 것이다. 예를 들면 축구, 테니스, 골프 모두 다 둥근 공을 사용하는 스포츠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가 하면 축구는 시간을 정해놓고 하는 운동이지만 나머지 둘은 딱히 시간을 정해 놓지 않고 경기가 벌어진다.

또 축구는 집단이 한 팀이 돼 경기를 벌이는 운동이고, 테니스와 골프는 개인 혹은 둘이서 짝을 이뤄 진행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체격, 즉 선수들의 체급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도 축구 테니스 골프의 공통점이다. 한편 착용하는 신발이나 옷은 제 각각이며, 축구는 공 이외에는 이렇다 할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반면, 골프는 여러 개의 클럽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두드러진다.

서로 다른 종목의 운동 경기들은 룰도 다르고, 선수들이 사용하는 기술도 확연하게 구분된다. 또 주로 취하는 동작이 종목별로 판이하고, 신체적으로 유리한 조건이나 운동능력적 요소 또한 다르기 마련이다. 지구촌 차원의 스포츠 축제이고 공을 사용한다는 등의 공통점이 있기는 하나, 자세히 들여다 보면 요컨대 축구 테니스 골프는 상이한 구석이 훨씬 많다.

하지만 스포츠 그 자체를 떠나 국제 스포츠 이벤트들은 문화적 시각에서도 흥미로우면서 공통적인 요소들이 있으니, 선수들의 ‘이름’이 바로 그 가운데 하나이다. 지구촌 스포츠 축제가 생활 깊숙이 자리 잡기 전, 이름이란 동질의 민족 혹은 부족집단 범주에서 통용되는 말 그대로 일상의 호칭이었다. 이름을 듣고 의아해 하거나, 고개를 갸우뚱 할 일이 없었다. 그만큼 동질적이고 익숙했던 것이다.

헌데 국제적 스포츠 이벤트가 생활의 일부분이 된 21세기 들어, 문자 그대로 이국적인 이름들이 언론을 도배하다시피 하고 있다. 철자 파악이 어려운 건 말할 것도 없고, 발음 또한 듣고서도 흉내내기조차 간단치 않은 이름들을 밤낮으로 접하는 실정이다. 20세기 후반만 해도 외국인 이름이란 유명 정치인 그것도 대부분 영미권 이름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수많은 스포츠 선수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테니스 스타 가운데 한명인 노박 조코비치가 윔블던 경기에서 이긴 뒤 기뻐하고 있다. 과거 유고슬라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슬라브 문화권에서는 성이 '이치'(ic)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사진=카린)
테니스 스타 가운데 한명인 노박 조코비치가 윔블던 경기에서 이긴 뒤 기뻐하고 있다. 과거 유고슬라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슬라브 문화권에서는 성이 ‘이치’(ic)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사진=카린)

월드컵은 특히 영어 알파벳을 근간으로 표현되는 선수들의 이름을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은근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테니스나 골프와는 달리, 등쪽에 이름이 분명하게 쓰여진 유니폼을 입는 축구의 특성 탓이다. 물론 골프나 테니스 또한 TV 중계 등에서는 자막 등의 방식으로 선수의 이름을 드러내므로 익숙하지 않은 이름을 접하기란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작명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은 국제적인 현상이다. 물론 성은 바꿀 수 없으므로 순 이름만의 다양화이다. 1970~80년대까지만 해도 국내의 경우, 여성들은 자, 영, 옥 등으로 남자들은 수, 식, 민 등으로 끝나는 이름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한자 병기가 아예 불가능한 독특한 이름, 얼핏 외국인을 연상시키는 이름까지 등장하는 형국이다.

‘운동’ 차원이라고까지 할 수 없지만, 미국 흑인들은 중심으로 1990년대 이후 영어식이 아닌 작명이 소리 없는 유행처럼 번지기도 했다. 예를 들자면 역대 최고의 여자 테니스 선수로 꼽히는 세레나 윌리엄스(Serena Williams)가 대표적이다. 제니퍼, 헬렌, 이사벨라 같은 영어 기원이 없는 이름들이 속속 등장한 것이다. 이들 이름은 영어로 표기만 될 뿐, 영어 어원 차원에서는 별 의미가 없는 특징이 있다.

이름이 과거에 비해 무척 다양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이름에는 문화권마다 보이지 않는 법칙 같은 게 작용하는 것 또한 현실이다. 예들 들면 슬라브 문화권에서 성은 특징적인 일종의 접미사를 갖는다. ‘ic’(‘이치’로 발음)로 끝나는 이름은 과거 유고슬라비아 연방 문화권에서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다. 단적인 예로, 이번 러시아 월드컵 E조에서 브라질, 스위스, 코스타리카 등과 16강 진출을 다투는 세르비아 대표선수 20여명 가운데 ‘ic’로 끝나지 않는 이름을 가진 선수는 단 두 명에 불과하다.

역시 범 슬라브 국가이지만, 러시아 계통 이름도 일정한 작명 법칙이 있는데, 여자들은 남자와 달리 성의 끝이 ‘a’로 변형된다는 점이다. 7월 윔블던 테니스 대회 출전이 확실시되는 마리아 샤라포바(Maria Sharapova)가 한 예로, 그의 아버지 성은 샤라포프(Sharapov)인데,  끝에 ‘a를 붙인 것이다. 중부 유럽 국가인 폴란드나 체코의 경우도 유사한 작명 관습이 있다. 이름 짓는 방식이 비슷하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들이 과거 활발한 문화 교류를 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인류의 이름 짓기에서 가장 공통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는 모음의 대표격인 ‘아’(영어 a)가 십중팔구 여성 이름에만 달라붙는다는 점일 것이다. 샤라포바의 예처럼 성의 끝에 a를 붙이는 방식 외에도 순수한 이름(퍼스트 네임)이 여성들의 경우 a로 끝나는 게 많다는 사실이다. 샤라포바의 이름인 마리아(Maria), 세레나(Serena)는 이런 점에서 특징을 공유한다.

여성 이름에 ‘아’라는 모음이 자주 활용되는 예는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모두 마찬가지이다. 한국의 여성들 이름 가운데 민아, 경아,  진아 등이 바로 이 같은 경우이다. 반면 여성 이름과 달리 남성들의 이름은 여간 해서는 ‘아’로 끝나지 않는다. 이번 러시아 월드컵에 참여하는 700명 안팎의 선수들 가운데 퍼스트 네임이 ‘아’발음으로 끝을 맺는 경우는 사실상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는 문화권에 무관하게 가장 먼저 시작되는 일종의 대표 모음이다. 모음은 말 그대로 자음과 달리, 바탕이 되는 음소이다. 일종의 근본 소리라는 얘기이다. 문화권에 관계 없이 말을 배우는 젖먹이들이 처음 내는 소리에는 ‘아’라는 음소가 빠지지 않는다. 한국말로 엄마, 영어의 마마 등등은 똑 같은 이치로 ‘아’라는 음소를 공유하고 있다.

골프대회의 리더보드. 이름만 봐도 본인 혹은 조상의 출신국가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골프대회의 리더보드. 이름만 봐도 본인 혹은 조상의 출신국가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람들은 인종이나 문화를 넘어서, 언어(소리)에 관한 한 선험적인 느낌 같은 걸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아주 어린 아이들도 잘잘못에 대한 구분 본능을 같은 걸 갖고 있듯이, 부드러운 소리 편안한 소리, 격한 소리 등에 대한 나름의 느낌을 갖고 태어나는 게 아닌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사람이 특정 음가와 음소에 대해 선험적 느낌을 갖고 있는 존재라고 가정하면, ‘아’는 모성적이고 어린아이와 같은 이미지를 가진 소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자들의 이름으로 문화권에 관계 없이 ‘아’가 선호되고, 뭔가 부드러우면서도 사랑스러운 존재라는 느낌을 유발하는 건 아닐까 하는 추론이 이런 바탕에서 가능하다는 뜻이다.

월드컵, 윔블던, US  오픈 같은 국제 대회는 매우 다채로운 이름들을 숱하게 구경할 수 있는 장이기도 하다. 이름 혹은 작명 뒤에 숨어 있는 어렴풋한 문화의 그림자, 그리고 느슨하면서도 인류에 보편적인 공통점 같은 걸 살펴보는 일은 국제 스포츠 이벤트가 주는 또 다른 재미가 될 수 있다.

김창엽

◆ 김창엽 자유기고가

중앙일보에서 과학기자로, 미주 중앙일보에서 문화부장 등으로 일했다. 국내 기자로는 최초로 1995~1996년 미국 MIT의 ‘나이트 사이언스 펠로우’로 선발됐다.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문화, 체육, 사회 등 제반 분야를 과학이라는 눈으로 바라보길 즐긴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