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과연 한 여성을 두고 우정이 깨졌을까
미술사에 등장하는 많은 화가 중 화우로서 둘도 없이 가까워 보이지만, 정작 보이지 않은 갈등으로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안기는 관계가 있다. 빈센트 반 고흐와 폴 고갱은 후기인상주의를 대표하는 화가들로 친구이면서, 라이벌이면서 갈등의 관계였다. 우리에게 알려진 두 사람의 관계, 그 진실에 관한 숱한 이야기들 중 두 사람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는 그림이 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빈센트 반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 1853~1890) 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공간에는 해바라기 작품 옆에 강한 색채대비를 지닌 또 하나의 고흐 그림이 있다.
왼쪽 뺨에 왼손을 댄 채 앞을 바라보고 있는 여인상(미술관에서 시선은 마치 루소의 작품을 보고 있는 듯 보인다)으로 <아를의 지누 부인>이다. 이 작품은 <밤의 카페>, <밤의 카페테라스>, <우체부 조셉 룰랭> 등과 함께 고흐의 아를 시대를 대표한다.
그림 속 모델은 마리 지누(Marie Ginoux)이다. 고흐가 1888년 남프랑스의 밝은 빛에 매료되어 살게 된 아를(Arles)의 노란집 주인이자, 카페 드 라 가르(Café de la Gare)를 운영하는 사장이다.
고흐는 1888~1889년 사이에 지누 부인을 모델로 두 개의 초상화를 그렸다. 하나는 오르세미술관에 하나는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 소장돼있다. 두 작품의 포즈는 비슷하다.
다만 테이블위에 놓인 물건만 다르다. 오르세 지누 부인의 테이블에는 붉은 우산과 장갑이 놓여있고, 메트로폴리탄 지누 부인의 테이블에는 책이 놓여있다.
그림은 고흐가 즐겨 쓴 노란색이 전체 바탕을 지배한다. 밝은 노란색 때문에 다른 그림보다 전체적으로 밝고 따듯하다. 초록색 테이블에 놓인 주황색 표지의 책과 군청색의 아를 지방 전통 민속 옷을 입은 지누 부인의 대비되는 색채가 시선을 집중시킨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그림 속 지누 부인이다. 고흐는 평소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했던 여주인을 모델로 그리면서 기왕이면 여주인을 교양 있는 여인의 모습으로 그리고 싶었다. 그래서 테이블 위에 애초에 없던 책을 일부러 놓고 그렸다. 단순한 소재에 불과하지만, 테이블에 놓인 오브제가 책이냐 우산이냐 따라 이 그림이 지닌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빈센트 반 고흐,<아를의 지누 부인>, 1888, 캔버스에 유채, 93×74cm,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고흐의 지누 부인을 모델로 한 그림과 비교할만한 또 하나의 그림이 있다. 화가의 공동생활을 제안한 고흐의 초대에 응해서 아를에 온 폴 고갱(Paul Gauguin, 1848~1903)이 그린 <아를의 밤의 카페>라는 그림이다.
이 그림은 제목처럼 밤의 카페 풍경을 그렸지만, 화면을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인물은 지누 부인이다. 고흐가 그린 지누 부인과 비교하면 동일한 인물을 그린 것인지 의구심이 들 정도로 다르다. 고갱은 지누 부인을 화면의 핵심으로 그렸지만, 개인 초상화가 아닌 카페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담는 화면구성에 집중했다.
폴 고갱 <아를의 밤의 카페>, 1888, 캔버스에 유채, 72×92cm, 모스크바 푸쉬킨 미술관. |
고갱의 그림에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지누 부인의 모습과 분위기이다. 테이블에 놓인 물건부터 고흐의 그림과 다르다. 고흐가 책을 그린 것과 달리 고갱은 값싼 술병(압생트)과 술잔을 그렸다. 오브제와 배경의 구성에 따라 고흐의 그림은 장소가 불분명하지만, 고갱은 장소구별이 가능하다.
고흐가 그린 지누 부인은 어딘지 날카로운 이미지라면 고갱의 지누 부인은 교양과는 거리가 먼 그저 넉넉한 이미지이다.
두 화가의 그림이 이런 차이가 나는 것은 왜 일까? 이는 공간에 대한 조형의식과 주변사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들 수 있다. 반 고흐에게 카페는 특별 장소였다. 평소 가장 가까운 지인인 우체부 조셉 룰랭과 군인 밀리에 등이 즐겨 찾는 곳이었다.
또한 고흐는 룰랭을 “착하고 현명하며 감정이 풍부한 친구”라고 생각했다. 실제 룰랭 가족 전부를 그림으로 그릴만큼 가깝게 지내며 룰랭을 신뢰했다. 그러나 고갱은 달랐다.
고갱에게 카페는 그저 별볼일 없는 사람들이 모여 밤을 즐기는 정도였고, 그곳에 오는 고흐와 가까운 사람들도 좋은 이미지로 보지 않았다. 이는 그림 속 고흐와 친분이 있는 인물들을 무질서한 사람으로 묘사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술집 주인을 고흐처럼 교양 있는 여인으로 그리지 않았고, 조셉 룰랭은 창녀들과 어울리는 호색한으로 표현했다. 고흐는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들을 비판적으로 그린 고갱의 행동이 마음에 거슬렸을 테고, 고갱은 술집 여주인을 교양 있는 여성으로 표현하고, 우체부나 군인을 특별하게 대우하는 고흐의 행동이 탐탁치 않았을 것이다.
미술사의 많은 사건 중 1888년 12월 23일에 일어난 빈센트의 ‘귀자른 사건’은 여러 가지 가설이 있지만, 실제 뚜렷하게 밝혀진 진실은 없다. 여러 추측만 난무할 뿐이다. 다만, 한 가지 두 사람 사이가 원만하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몽펠리에의 여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서로 숭배하는 화가를 놓고 의견대립을 보였고, 고갱은 고흐를 미친 사람처럼 표현해 고흐를 화나게 했고, 고갱은 아를과 고흐를 점점 더 싫어했다. 특히 고흐의 그림 방식이나 태도를 못마땅해 했다.
이러한 갈등이 원인이 되고, 급기야 고흐가 감정조절을 하지 못하고 돌발적으로 자신의 왼쪽 귀를 자르는 사건으로 이어졌다.
사건의 진실이 무엇인지 아직까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지만, 두 사람의 생활태도와 교우관계의 차이 역시 갈등의 요인이었음은 분명하다. 카페와 인물을 소재로 한 그림이 이를 증명해준다. 두 달만에 화가공동생활이 실패로 끝난 것은 애초에 화합하기 힘든 성격이 탓이 크다. 그것은 1888년 10월 23일, 아를의 노란 집에서 두 사람이 마주한 순간부터 예견된 것이었다.
미술사의 영원한 맞수로 불리는 두 사람의 이야기는 그들이 유일하게 함께 했던 아를의 60일을 들여다보면 왜 화우로서 영원히 함께 할 수 없었는지 알 수 있다. 지누 부인을 소재한 그림은 이러한 사실을 말해주는 하나의 단서이다.
동일인물에 대한 상반된 의견이나 평가는 인간사에서 흔한 일이다. 그러나 자신과 관계없는 사람에 관한 상반된 평가는 큰 다툼이 없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을 비난하거나 폄하하는 경우는 다툼으로 번지는 경우가 있다.
빈센트 반 고흐와 폴 고갱의 관계도 그렇다. 가까우면서도 먼 친구, 두 사람의 우정은 화가라는 동질성으로 가까워졌지만, 결국 조형적 이질감과 인간적 감성의 차이로 멀어졌다.
* 관련 추천문헌 : 정준모 지음『영화 속 미술관』마로니에북스, 2011.
◆ 변종필 미술평론가
문학박사로 2008년 미술평론가협회 미술평론공모 당선, 200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부문에 당선됐다. 경희대 국제캠퍼스 객원교수, 박물관·미술관국고사업평가위원(2008~2016), ANCI연구소 부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미술평론가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