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7월 1일은 ‘세계 조크의 날’

임철순 이투데이 이사 겸 주필

2017.06.27 임철순 이투데이 이사 겸 주필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유머감각이 없는 사람은 환영받지 못한다. 세대간은 물론 직장이나 소속된 공동체 내에서의 소통과 공감도 기대하기 어렵다. 국가 간의 정상외교도 마찬가지다. 멋진 농담이나 조크 한마디로 얽히고설킨 외교상의 문제가 풀리지는 않지만 적어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데는 유효하다.

유머감각은 훈련한다고 해서 습득되지는 않는다. 근본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 해도 노력하면 나아질 수는 있다. 일부러 재미있는 이야기를 찾아서 읽고 외우고, 그 이야기를 나름대로 상황에 맞게 변형하고 가공하고 재구성하는 노력을 기울이다 보면 유머감각이 향상될 수 있다.

유머(humor)가 큰 개념의 말이라면 조크(joke)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말이다. 조크를 잘할 수 있는 게 유머감각이며, 조크는 유머감각의 소산이다. 우리 국어사전은 조크를 농담, 우스개, 익살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옥스퍼드영영사전은 ‘남을 웃게 만드는 말이나 행동, 또는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우스꽝스럽고 소란스러운 사람, 사물, 상황’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조크는 조크일 뿐이지만 우스운 이야기를 통해 풍자와 비판, 조롱 따위를 전달함으로써 공감과 동의, 일체감을 유발한다. 인간의 본질적 단점이나 약점이 소재이거나 국민성을 비교하는 내용인 경우 더욱 그렇다.

이런 이야기를 들어보자. “미국인 일본인 러시아인이 함께 사우나에 들어갔다. 갑자기 삐삐 소리가 나자 미국인이 ‘여기 팔꿈치에 최신형 포켓벨 칩을 삽입했다’며 으스댔다. 얼마 후 따르릉, 따르릉 하는 소리가 나자 일본인이 손바닥을 펴 보이며 ‘여기에 세계에서 제일 작은 휴대전화 칩을 삽입했지’라고 자랑했다. 그러자 러시아인이 벌떡 일어나 나갔다 오더니 화장지가 붙은 엉덩이를 돌려 보이며 ‘지금 막 팩스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것은 좀 오래된 조크이지만 국가별 통신수단의 발달 정도에 대한 평가가 담겨 있다. 다음 이야기는 국민성에 대한 비판과 풍자.   

“술주정뱅이 대부호가 ‘푸른색 기린을 보여주면 거금을 주겠다’고 현상금을 걸었다. 그러자 영국인은 그런 동물이 있는지 회의를 열어 철저하게 논의하고, 독일인은 도서관에서 문헌을 조사하며, 미국인은 군대를 출동시켜 전 세계를 샅샅이 뒤지고, 일본인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품종 개량에 몰두하며, 중국인은 푸른색 페인트를 사서 칠한다.”
이 조크에 한국인은 나오지 않는다. 한국인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생각하며 이야기를 만들어 가면 유머감각이 계발될 것이다.

이렇게 유머와 조크 이야기를 하는 것은 7월 1일 ‘세계 조크의 날’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널리 알려진 건 아니지만 이 ‘세계 조크의 날’은 웨인 레이내절(Wayne Reinagel)이라는 미국 작가 겸 그래픽 아티스트가 1994년 제안을 한 이래 점차 참여자가 늘어나고 있다. 1961년생인 그는 역사 소설가로 알려진 사람인데, 7월 1일을 조크의 날로 정한 것은 한 해의 절반이 지나간 시점에 삶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자는 취지였다. 그 자신은 조크 북을 보완하고 홍보하곤 하는 시점이다.    

그러면 이날 뭘 해야 하나? 직장 동료들에게 조크를 하거나 길거리에서 낯선 사람에게 우스갯소리를 하고 아니면 친구들을 불러 모아 ‘조크 토크 파티’를 열거나 직장 내 조크 경연대회를 연다. 조크 북을 구해서 읽고, 요즘 성행하는 SNS로 우스운 이야기를 널리 퍼뜨리는 건 기본이다.

역사학자들에 의하면 가장 오래된 조크의 기록은 BC 1900년 고대 수메르인이 남긴 것이라고 한다. 웃으며 살고 남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려 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적 욕구인지도 모른다. 보통 1~4세의 아이들은 하루에 200~300번 웃는 반면 성인들은 하루에 4~20번 웃는다고 한다. 7월 1일을 맞으며, 아니 한 해의 절반을 보내면서 ‘세계 조크의 날’과 즐겁게 사는 삶을 생각해 보도록 하자.

그런데 이런 날은 참 많기도 하다. 누가 이렇게 1년 365일을 다 무슨 무슨 날로 정했는지 모르지만, 우리의 경우 빼빼로 데이와 같은 게 있는 것처럼 영어권에는 괴상망측한 게 많다. 1월 9일은 책상을 정리하는 날(Clean Off Your Desk Day), 1월 16일은 아무것도 안 하는 날(Nothing Day), 2월 1일은 발가벗고 일하는 날(Work Naked Day), 3월 23일은 뭐든지 오케이하는 날(OK Day), 6월 2일은 일찍 사무실에서 나가는 날(Leave the Office Early Day)이란다. 그런가 하면 2월 8일은 웃어서 부자 되는 날(Laugh and Get Rich Day), 3월 19일은 다 함께 웃는 날(Let's Laugh Day)이다. 우리는 4월 1일 만우절이 거짓말하는 날로 알고 있는데 4월 4일 거짓말하는 날(Tell a Lie Day)이 따로 있다. 세계 조크의 날이 있는데도 8월 16일이 또 조크를 하는 날(Tell a Joke Day)이라고 한다.  

경상도 사투리로 ‘우야든동’ 조크와 웃음의 중요성을 알고 서로서로 행복하게 해주려고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내가 아주 좋아하는 조크를 한 가지 소개한다. 뽀빠이 이상용이 해준 이야기이다.

충청도 어느 지역에 TV프로그램 ‘늘 푸른 인생’(나이 많은 어르신들의 파란만장 인생사가 펼쳐지는 고향토크쇼) 녹화를 하러 갔을 때다. 녹화가 곧 시작된다고 할아버지 할머니들에게 어서 오시라고 아무리 마이크로 외쳐도 참여가 영 부진했다. 그렇게 성화를 부리는데도 을미적 을미적 걸어오던 할머니가 한마디 하셨다고 한다. “흥, 그렇게 바쁘먼 어제 오지 그랬어?”

이 말은 다른 경우에도 충분히 써먹을 수 있다. 날은 더워 죽겠는데 차가 막혀 저마다 짜증이 나 있을 때 뒷 차가 계속 빵빵거리면 이렇게 말해주면 된다. “흥, 그렇게 바쁘면 어제 나오지 그랬어?”

임철순◆ 임철순 이투데이 이사 겸 주필

언론문화포럼 회장, 자유칼럼그룹 공동대표. 보성고 고려대 독문과 졸. 1974~2012 한국일보사 근무. 기획취재부장 문화부장 사회부장 편집국장 주필, 이사대우 논설고문 역임. 현재는 이투데이 이사 겸 주필.


하단 배너 영역